본문 바로가기
배우고/생활정보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모자이크 처리 프로그램

by 틈새인간 2022. 5. 10.
728x90
반응형

블로그에 이런 저런 정보를 소개하다보면 아무래도 사진을 많이 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꽤나 번거로운 일이 생기는데요, 바로 사진에 찍힌 다른 사람의 얼굴을 그냥 올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초상권 때문이죠.

이런 경우, 사진 하나 하나를 모자이크 처리해 올렸는데요, 그러다가 자동으로 동물이나 사물을 인식하여 모자이크 처리를 해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어서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가끔 한 번 사용하는 사람들보다는 사진을 많이 업로드하는 블로거나 개인사업자에게는 유용한 프로그램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프로그램의 이름은 'NGM-인공지능 이미지 에디터' 입니다.

인공지능으로 찾을 수 있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 사물, 음식, 교통수단 등 꽤 많은 항목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항목이 자동으로 인식 가능한 항목들입니다. 꽤 많죠? 

person
bicycle
car
motorbike
aeroplane
bus
train
truck
boat
traffic light
fire hydrant
stop sign
parking meter
bench
bird
cat
dog
horse
sheep
cow
elephant
bear
zebra
giraffe
backpack
umbrella
handbag
tie
suitcase
frisbee
skis
snowboard
sports ball
kite
baseball bat
baseball glove
skateboard
surfboard
tennis racket
bottle
wine glass
cup
fork
knife
spoon
bowl
banana
apple
sandwich
orange
broccoli
carrot
hot dog
pizza
donut
cake
chair
sofa
pottedplant
bed
diningtable
toilet
tvmonitor
laptop
mouse
remote
keyboard
cell phone
microwave
oven
toaster
sink
refrigerator
book
clock
vase
scissors
teddy bear
hair drier
toothbrush

 

 'NGM-인공지능 이미지 에디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엔지엠소프트웨어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됩니다. (아래 링크 참조)

http://ngmsoftware.com/bbs/board.php?bo_table=product1&wr_id=65 

 

엔지엠소프트웨어

엔지엠 매크로는 복잡한 반복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PC 게임, 모바일 게임을 최적으로 지원하며 모든 PC 프로그램 및 업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www.ngmsoftware.com

 

월구독 형태의 유료 상품인 점이 좀 아쉽기는 하지만, 동물 또는 사물들을 자동으로 찾아 모자이크 처리해주기 때문에 이미지 편집의 수고로움을 덜어주기에 충분합니다.

가끔 한 번 필요한 분들보다는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대량의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편집해야 하는 경우 유용할 것 같습니다.

 

한가지 더! PC 전용입니다.

그런데 대량의 이미지 편집이 필요하다면 대부분 PC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사용법을 좀 살펴보면......

 

1. 해당 제품을 구매 후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생성됩니다.

DLIE.exe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

 

2.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엔지엠소프트웨어'의 회원 로그인 창이 뜹니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합니다.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회원가입을 먼저 진행합니다.)

 

3.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창이 뜹니다. NGM-인공지능 이미지 에디터는 원본 폴더에 있는 이미지 전체를 처리하여 별도의 저장 폴더에 같은 이름으로 저장해 주기 때문에 원본 이미지가 있는 폴더와 편집된 이미지들을 저장한 폴더를 따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① 이미지 폴더 선택 : 원본 이미지가 있는 폴더를 선택합니다.

② 저장할 폴더 선택 : 모자이크 및 블러 처리가 완료된 이미지를 저장할 폴더를 선택합니다.

③ 이펙트 크기 : 모자이크의 픽셀 크기 및 블러 처리 정도를 수치로 지정해 줍니다.

④ 이펙트 종류 : '모자이크'와 '블러'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⑤ 필터 : 어떤 항목을 필터 처리할지 지정해 줍니다. (주의할 점 : 영문으로 지정) 위의 예시창에는 'person', 즉 사람만을 골라 모자이크 처리할 때의 설정값 입니다.

⑥ 정확도 : 필터 처리할 대상을 어느 정도의 정확도로 검색할 것인지 설정합니다. 100에 가까울수록 일치도가 높고, 0에 가까울수록 일치도가 낮습니다.

⑦ 실행 : 실행 버튼을 누르면 설정값에 따라 이미지가 처리되어 저장됩니다.

⑧ 실행창 : 작업이 실행되는 상황을 출력해 줍니다.

 

 

 

몇 가지 테스트 해 봤습니다. (왼쪽이 원본, 오른쪽이 편집결과)

 

아래 사진은 필터 항목을 person으로 실행시킨 것입니다. 개를 제외한 사람들만 모자이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같은 사진을 대상으로 필터 항목을 dog로 하여 실행시킨 결과입니다. 개만 모자이크 처리가 됐죠?

 

 

아래 사진은 필터 항목을 dog로 실행시킨 결과입니다. 개들만 모자이크 처리가 됐습니다.

 

필터 항목을 cat으로 한 것과 비교해 볼까요?

 

 

아래 사진은 필터 항목을 person, dog로 설정하고 실행한 결과입니다. 사람과 개 모두 모자이크 처리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이상을 필터 항목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콤마(,)로 연결하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요.

 

 

동물 말고 사물들도 가능한지 테스트 해볼까요?

아래 사진은 필터 항목을 cup으로 처리한 결과입니다. 컵에만 모자이크 처리가 잘 되었네요.

 

 

아래 사진은 toothbrush로 실행해 본 결과인데요, 음.... 뭔가 이상하죠? 칫솔만 처리된 것이 아니라 옆에 있는 치약에도 같이 모자이크 처리가 되었네요;; 

사진 몇 가지를 더 테스트해 본 결과, 객체들이 근접하게 붙어 있거나 다른 사물에 가려져 있을 때, 또는 겹쳐져 있으면 정확도를 많이 낮추어도 인식률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인공지능으로 처리되다 보니 그런가봐요.

 

 

이번에는 모자이크 형태 말고 블러 형태로 처리해 보겠습니다.

필터 항목을 bus로 하고, 이펙트 종류를 '블러'로 하여 실행시킨 결과입니다. 버스에 블러 처리가 잘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 본 결과 성능이 꽤 만족스러웠는데요, 반면 간단한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 로직이라 세밀한 작업은 어렵다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대량으로 사진을 처리해야 할 경우에는 아주 유용할 것 같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