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6년도부터 적용될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치로 인상됐다는 소식입니다.
특히 1인 가구, 청년층, 다자녀 가구 등에 실질적인 혜택이 확대되며, 기초생활보장 급여 기준도 전반적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핵심만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을까?
-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 2025년 609만 7,773원 → 2026년 649만 4,738원
→ 인상률 6.51% (역대 최고 수준)
연도 기준 중위소득 (4인 가구) 증가율 2022년 5,121,080원 5.02% 2023년 5,409,964원 5.47% 2024년 5,729,913원 6.09% 2025년 6,097,773원 6.42% 2026년 6,494,738원 6.51%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 전년 대비 7.20% 인상된 256만 4,238원
2.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월 지원금 수준 (2026년)
급여 항목 | 기준 중위소득 대비 | 1인 가구 기준액 (월) | 4인 가구 기준액 (월) |
생계급여 | 32% | 약 82만 원 | 약 207.8만 원 |
의료급여 | 40% | 약 102만 원 | 약 259.8만 원 |
주거급여 | 48% | 약 123만 원 | 약 311.7만 원 |
교육급여 | 50% | 약 128만 원 | 약 324.7만 원 |
※ 모든 급여 기준은 동일한 비율 유지
※ 급여별 지급금액은 가구원 수 및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제도 개선 주요 사항
1)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
- 기존: 만 29세 이하 + 월 40만 원 공제
- 변경: 만 34세 이하 + 월 60만 원 공제
2)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승합·화물차 보유 가구
- 다자녀(2자녀 이상) 가구는 자동차 환산율 4.17% 적용
3) 의료급여 과다이용 방지
- 연간 외래 진료 365회 초과 시 본인부담률 30% 적용
- 단, 중증장애인·노인·아동 등은 예외
4. 요약
더 많은 가구가 기초생활보장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고,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한 개편입니다.
기초생활 수급을 고려 중인 분이라면 2026년부터 바뀌는 기준을 꼭 확인해 보세요!
-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 및 기초생활보장 제도 개편
본 내용은 보건복지부에서 2025년 7월 31일자로 배포한 공식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였습니다.
반응형
'배우고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가철 인파 피하는 똑똑한 여행 전략 - 뻔하지만 다시 체크하기 (28) | 2025.07.26 |
---|---|
정부지원 국민 영화관람 할인권(6,000원 할인) 안내 - 발급부터 사용법까지 총정리! (34) | 2025.07.25 |
아이들 방학, 실내에서 할 수 있는 활동 총정리! (24) | 2025.07.23 |
아이들 방학, 뭘 하며 보내면 좋을까? 함께 볼만한 영화 추천 (19) | 2025.07.23 |
여름철 차량 관리 요령 (타이어 · 에어컨 · 유막 제거 중심) (12) | 2025.07.22 |